국내여행

청계천6부(동대문)

훼브스 2020. 11. 29. 19:14

청게천 따라 걷다가 동대문 포스트로 나왔다

눈앞에 바로 동대문이 서있다 남대문은 국보1호 인데

동대문은 보물1호로 되어있다

 

홍인지문 서울 종로구6가에 있는 성문은 1397년 도성을 쌓을때

함께 짓기시작하여 1398년에 완공되었다한다. 정면5칸 측면2칸

다포게형식의 우진각 형식의 지붕건물로 보물제1호 로 동대문이라한다

1392년에 고려멸망과 조선건국으로 이어지고 1394년부터 경복궁 을 짓기

시작하여 연차적으로 외성과 내성을 축조하였으니 1398년에 완공한 동대문

을 별의미 없이 지나다가 새롭게 그의미를 되사겨 보며 사대문에 대한

옛 사진들을 올려보았다

 

 

조선 태조때 건립이후 임진란때 전소 대원군이 중건

일제의 총독부신축으로 이전 동란때 문루소실 1968년

콘크리트로 개축 우여곡절 2010년8월 제모습을 찾았다

사진은 1900년대 광화문 모습

 

 

전차의 진동으로 허물어진 경복궁 서문인 영추문의 모습

 

 

 

 

 

 

1900년대 의 동대문 성곽엔 아이들이 올라있고 동대문 밖의 장면이다좌측 하단부분엔 칼을 찬 일본인 순사가 있다 아래사진은 확대해 본사진

 

 

역시 동대문 사진이다 성곽에 올라있는 아동들은

옷차림으로 보아 그당시 밥술이라도 뜨는 중산층이상으로

보여진다

빌려온 사진 (불나기전 모습)

 

서울 숭례문 서울중구 남대문로4가에 있으며

정면5칸 측면2칸 중층의 우진각 지붕다포집 국보제1호

서울도성의 4대문중 정문으로 1396년(태조5)에 창건되었다

하며 1448년(세종30)에 개축한 것으로 알려져 있고

국보1호는 몇백년을 지나 동란중에도 전소하지 않았는데

2008년2월11일 어처구니 없게 한노인에 의해 재로변해 버린다

수문장 교대식을 포함하여 아름답게 빛나던 숭례문은 이제

다시 복원되서 우리앞에 우뚝설것이다...

 

남대문내 시장풍경

 

어른들이 남대문 문류에 올라 앉아 있다

 

 

후릭커스의 서대문사진 성밖의 산을보면

현재의 도로진행보다 약간 북쪽을 보고 있는것 같은데

신식군복을 한 군인들을 수문장복색의 구 복장 군인들이

보고있는 것이 이채롭다.

 

 

전차가 통과하는 유일한 서대문 사진이라는데

일제가 이 전차선을 복선화 하면서 서대문을 헐어 버렸다

북대문인 숙정문의 정보는아래 주소를 크릭하면

자세한 내용을 보실수 있습니다

http://blog.chosun.com/paxlee/3825136 아래글출처

조선의 태조는 1395년 9월 도성축조도감을 설치하고 정도전에게 명하여 성터를 측정하게 하였다. 정도전은 한양을 둘러싸고 있는 네 개의 산, 남산과 북악산, 인왕산과 낙산에 올라 실측하여 이를 연결하는 5만 9천5백 척의 성터를 결정하였으며, 그해 가을 서울 성곽을 개축하고 4대문과 4소문을 완성하였다.

 

4대문은 유교의 덕목인 인(仁)의(義)예(禮)지(智)신(信)의 5상(五常)을

방향에 따라서 아래와 같이 명칭 하였다.

 

東의 동대문인 興仁之門 (仁): 동쪽의 낮은 낙산의 비포를 위해 지(之)를 넣음

西의 서대문인 敦義門 (義)

南의 남대문인 崇禮門 (禮) : 숭례문은 현판을 세워 남쪽의 화기가궁궐쪽으로

번지는 것을 차단키 위해서임.

北은 북대문인 肅正門(智) :지(智)자가 아닌 정(正)자를 쓴 것은 북쪽은 음기가

많아 닫아두고홍지문(弘智門)으로 대신했다.

中央엔 普信閣 (信)을 4대문 복판에 세웠다.

 

4대문 사이에는 4소문을 만들었다.

 

동북의 동소문(홍화문/혜화문)

서남의 서소문(소의문/소덕문)

서북의 북소문(창의문/자하문)

동남의 남소문(광희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