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65

이재삼의 주봉 오봉 앨범

2020년 2월8일 9일 등산인 이재삼의 등산일기 수락산 청학리 옥류,은류 ,금류폭포, 내원암,수락산장,철모바위,코끼리바위,하강바위, 안부삼거리,새광장,벽운계곡,수락산역으로 산행했어요 종바위 위에서 만난 유홍서씨라는 분이 코끼리바위와 하강바위에 올라 있는 저를 찍어서 하산하는 길에 보내준거예요^^ 철모바위에서 정상가는 반대방향으로 도솔암 가는 길에 있어요 바로 다음에 하강바위 있고 그다음 치마바위 있구요 금강암에서 보문능선 옆으로 올라오는 길엔 눈이 있어 기분이 참 좋네요^^ 오봉쪽으로나 가볼까 생각중입니다~^~ 주능선에서 오봉으로 갔다가 오봉능선 타고 넘어왔어요 등산 /박태강 숨이 목에 찬다 힘들어 땅만 보고 앞으로 앞으로 이 깔딱고개만 넘으면 하늘밑 높은 꼭지에 닿겠지 능선을 넘고 계곡에 닿으면 시원..

산인이재삼 2020.12.05

팩트체크의허와실(모베터브르스)

2019년 12월7일 영하 10도 몹시 추운날이 었습니다 눈이 온다는 예보도 있었지요 휴일이 되면 늘 습관처럼 카톡을 넣는 산 친구가 있습니다 그는 도선 산우회 관촌처럼 혼자 산을 타는 사람입니다 “오늘 일기불순 어느 곳 가십니까?” “네 지금 백운대 인데요 영하 15도 되는 것 같습니다 백운대 국기봉에 섯 는데 시야가 0입니다“ 산타는 사람에게 말 시키는게 큰 실례가 되므로 하산후 “내 등산화도 살겸 도봉산 입구에서 만나자“ 하구 오후 4시 미팅 등산화 구입 후 삽겹 살 집에서 정겨운 이야기가 이어집니다 “와 오늘 굉장했어요. 차라리 눈이 많이와 쌓였으면 편한데 약간의 눈이 얼어 빙판인 데다가 백운대 오르는 길 어르신도 아시다 싶히 잡고 올라가는 쇠줄(wire rope)까지 얼어 위험 천만 했어요“ “..

산인이재삼 2020.12.05

설악산의멧돼지(10월5일이재삼의앨범)

10월4일 한계령으로 예약했는데 태품영향으로 다른 코스는 다 통제되고 오색만 개방되어 설악폭포,대청봉,중청대피소,중청,소청,소청대피소, 봉정암,해탈길,쌍용폭포,관음폭포,만수폭포, 수렴동대피소, 영시암,사마소,황장폭포,백담사로 하산 했습니다 거의 18km 정도 산행했는데.. 다행히 중청대피소에서 만난 60이 넘으시고 김제가 고향이신 아주머니 한 분 봉정암에서 일박하신다는 분 끝까지 모시고 안전하게 백담사로 하산완료했습니다~^~ 단풍이 들기 시작하고 태풍의 영향으로 수량이 풍부한 계곡의 폭포들은 아름다운 조화를 연출합니다 백담사로 내려오는 길에 계곡 옆에서 땅을 파고 먹이를 먹고 있더라구요 다도 투어 하러 봉정암으로 올라가시는 불교신자들은 무서워서 도망가고~^~ 무의식적으로 핸드폰으로 촬영한 멧돼지입니다 산..

산인이재삼 2020.12.05

설악산의야생화(이재삼의5월)

2019년 5월18일 등산인 이재삼님은 설악산 한계령휴게소에서 올라가서 한계삼거리,끝청, 중청,대청까지 오르면서 야생화를 찍어왔스니다 노랑제비꽃.삿갓나물꽃.괭이눈,앵초꽃.나도옥잠화.개별꽃.엘레지 꽃 들은 아주 신선하고 우아했습니다. 노랑제비꽃 삿갓나물꽃 푸른괭이눈 앵초 나도 옥잠화의 개화전단개 나도 옥잠화 개화 큰 개별꽃 엘레지

산인이재삼 2020.12.05

설악산6월야생화(이재삼)

2019년 6월1일 산친구 이재삼님은 연속 설악산행 합니다 야생화 좋아하는 평보를 위해 꽃사진과 함께 메세지를 보내왔지요 대청에서 천삼이랑 만병초, 마가목 군락지 찾아 죽음의 계곡 능선 타고 희운각으로 내려왔어요 천당폭포랑 오련폭포 도 멋졌지요 꽃이름은 모르겠어요 보라색이 너무 이쁘더라구요 평보는 또 사랑하는 과학도가 있습니다 관촌 에게 꽃이름을 문의 올려봅니다 산나물과 함께하는 즐거운산행 함박꽃 산목련 금마타리 땃 두룹릅 위 두건은 땃 두릅인데 인삼만큼 좋다한다 만병초 만병초 나무 배암나무꽃 마가목 네잎 갈퀴나물꽃 말나리 꽃피기전모습 노랑제비꽃 은방울꽃 양지꽃 요강나물꽃 두루미꽃 요강나물꽃 삿갓나물꽃 끝물 천남성 엘레지꽃이 지고 맺힌 씨방 꽃이 아닌 충영(벌레집) 고광나무꽃 고광나무꽃봉우리 세잎종덩굴꽃..

산인이재삼 2020.12.05

이재삼의꽃사진(Zigeunerweisen)

2019년 4월14일 어제 석촌호수에서 낙화의 분분함이 심상치 않은지라 내일은 꽃을 볼수 있는 마지막 기회라 여겨져 산 친구 재삼씨에게 문자를 넣었습니다 마침 고향에 내려갔다 아침에 올라가겠으니 봉화산에서 만나자는 답이 왔습니다 봉화산 둘레길엔 꽃들의 전쟁입니다 하지만 14일 아침 채비를 하고 약속장소에 가려 하니 비가 세차게 오고 있었고 아내는 산행을 하지마라 성화를 하는지라 결국 포기하고 말았지요 동창모임에 나간 짝 홀로 집에 있어 무료한 내게 재삼씨는 봉화산 둘레길 꽃 사진을 보내왔습니다 배꽃,개복숭아,개나리,홍매화, 목련,진달래 보내드려요 봉화산 둘레길이 꽃으로 가득하네요 들곷은 누가 가꾸지 않는다 홀로 잉태의 아품도 이겨내고 겸손으로 수줍어 하며 교만으로 뽑 내지 않는다 비오면 비를 맞고 바람 ..

산인이재삼 2020.12.05

봉화산둘레길(꿈속의고향)

2019년 3월 10일 2018년 가을 오봉의 단풍구경 갔을 때 산사람 이재삼씨 를 만났습니다 그분은 등산 뿐 아니라 인문에 다양한 지식을 가지고 있어 우리는 여러 장르에 대한 대화를 하며 같이 산행을 하였습니다 3월10일 우리는 중량구 봉화산으로 꽃구경 가기로 약속을 하였습니다 전철6호선 먹골역 1번출구에서 만나 바로 봉화산으로 향합니다 봉화산 정상에 봉수대와 굿당이 있었습니다 옛건물 봉화산 당굿보존위원회 건물은 한옥이었습니다 삼월삼짇날이 되면 주민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하는 굿이 열린다 합니다 그리고 새로 복원된 봉화대 옛 통신 시설 입니다 거기서 롯테타워 남산타워 조망되나 미세먼지 때문에 밝게 보이지 않습니다 주변에 바둑을 둘수 있게 천막이 처져 있습니다 굿당 양옆으로 큰 나무가 있는데 재삼씨 말로는..

산인이재삼 2020.12.05

가을길목 두물머리(구월이오는소리)

2020년 9월5일사회적 거리두기 집안에 있어 심신이 모두 지처 있습니다 내자는 토요일 아침 두물머리라도 가서 강바람이나 느끼고오자 해서 출발 합니다 막상 도착하니 세미원은 폐쇄되어 있고 두물머리 주차장은 일부가 문울닫고 통제합니다 주변 음식점은 거의 영업을 않하고 있었습니다 그러니 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어떨까요? 두물머리의 가을 길목엔 나비와 벌새 벌 들이 겨울거지 위해 바쁘게 움직이고 오리들은 종족보존을 위한 필사의 사랑의 추격전을 벌리고 있었습니다 사람들은 아무도 사진을 찍어달라 하지 못합니다 코로나의 위협으로 대부분 셀카를 이용 합니다 그때 아주 착해보이는 연인중 젊은 여인이 포토죤에서 사진을 찍어주고 있었지요 덕분에 우리부부도 찍어달라 부탁을 하였는데 친절하고 상냥한 그처녀는 강한 인상을 주었지..

평보여행기 2020.12.05

국립중앙박물관나들길(옥외석조전시물)

2019년12월15일 국립중앙 박물관 나들길과 용산 가족공원을 우리 부부가 산책하였습니다 직박구리 곤즐박이 박새 까치 참새 비들기 들이 숲속에서 오케스트라를 연주 하고 있었습니다 일전에 왔을때는 누런 참새보다 작은 콩새 떼를 보았었는데 오늘은 보이지 않았습니다 본관앞 못엔 비단잉어 가 놀고 있었지만 왠 일 인지 흔한 오리도 없었고 창경궁 춘당지에 겨울이면 모여드는 원앙도 없었습니다 아!! 천년의 석등을 직박구리란 녀석이 함부로 능멸하고 있었어요 그러나 모두 정겹습니다 데이트즐기는 청춘 대나무 숲 그리고 각종 석탑의 보물들 자연과의 조화가 참 아름다워 태양빛에 반사되는 열매와 탑신은 예술이었습니다 갈왕사 동서 삼층석탑 758년 아름다운 비례를 지닌 쌍탑이 김천 갈항사(葛項寺)의 경내에 세워졌습니다. 발원자..

평보여행기 2020.12.05

단풍진고궁을걷다(창경궁 창덕궁 비원)

2019년 11월10일 우리부부는 단풍진 창덕궁후원을 보기위해 창경궁 춘당지 원앙의 앙름다운 모습을 보고 창덕궁으로 향합니다 겨울 비원을 보고 봄과 가을 꼭 오고 싶었지만 봄은 놓치고 가을에 온 것입니다. 과연 비원의 단풍은 에사롭지 않았습니다 창덕궁 후원(昌德宮後苑) 또는 비원(祕苑)은 창덕궁 북쪽에 창경궁과 붙어 있는 한국 최대의 궁중 정원입니다. 궁원(宮苑), 금원(禁苑), 북원(北苑), 후 원(後園)으로도 불립니다. 조선 시대 때 임금의 산책지로 설계된 후원으로 (1405년태종 5년) 10월에 별궁으로 지은 것인데, 이후 1592년(선조 24년)에 임진왜란 때에 불타 없어지고, 1609년(광해군1년)에 중수했습니다. 많은 전각, 누각과 정자가 신축, 보수되어 시대에 따른 특색을 보여 주고 있습니다..

평보여행기 2020.12.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