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 865

경주 한수원견학(경주여행14부)

실2017년 6월 18일 지하철을 타고 다니며 항상 느끼는 거지만 승강기와 에스컬레이터 등 그 많은 전력수요를 어떻게 충족 시킬수 있을까?였습니다. 경주시티투어 스케줄 따라 들른 한수원(한국 수력 원자력) 에 왔습니다 한수원본사 조감도 한수원은 우리나라의 전력 31.5%를 생산하는 회사 국민경제 산업 발전에 크게 기여하고 있는 한수원은 2016년 경주로 본사를 이전하게 되었는데 본사 바로옆에 흥보관에서 반갑게 맞아주었던 여성해설사의 안내멘트를 들으며 전력생산 체험을 하게됩니다 주로 전력생산과 안전성에 대한 설명은 돔형의 외벽은 전투기가 충돌하여도 파괴 되지 않는 강한 콘크리트라며 비상 발전기가 상부에 설치되어 있어 강한지진에도 견딜수 있는 시스템이라 하여 나는 질문을 하였습니다 “그렇다면 후쿠시마 원전은..

육홍회 2020.12.03

자락길 무당개구리와 고향친구들(국제시장)

2017년7월3일 오늘 고향친구들 만났습니다 폭우가 예보되어있어 단축 걷기로 변경합니다 자락길을 걸어 칼바위 능선직전 탐방안내소 입구에 도착하였습니다 우리는 거기서 경이로운 자연세계를 목격합니다. 탐방안내소 등산로는 폭우로 입산금지 되었고 아래로 흘러내리는 작은소에서 무당개구리 들이 짝 짖기를 하고 있었는데 얼마 전까지 100년만에 찾아 왔다는 극심한 가뭄으로 물 끼 하나 없이 협소한 작은 또랑은 매말라 있었기 때문에 감탄을 자아냈습니다 어떻게? 생존했을까? 기후변화에 대한 문제의식과 심각성은 하루 이틀의 문제가 아닙니다 하나뿐인 지구를 이처럼 괴롭히니 후세의 지구는 어떻게 될까요?? 기후변화는 사람뿐만 아니라 생태계에도 큰 영향을 끼침니다 자료를 찾아보니 온도가 2℃ 증가할 경우 5.2%의 종이, 3℃..

국내여행 2020.12.03

경주 전통명주전시관(경주여행13부)

2017년 6월18일 경주 전통명주 전시관 실크로드의 신개념은 종전 기착점이 장안(서안) 으로 알려지던 것이 그것에 그치지 않고 신라의 수도 서라벌(경주)까지 나아가 일본의 나라 지역까지 실크로드에 포함시킨다 합니다 실지 경주박물관에는 경주권에서 출토된 유리잔 .단검. 사자상과 쾌릉의 석인상등은 서역인들을 상징하는 유물로 추정됩니다 비단길이라고 일컫는 실크로드는 단순히 비단이나 소금 등 물자만 왕래한 곳이 아니라 동서양의 정치 경제 문화가 교류한 길이었습니다. 우리는 경주 전통명주 전시관에 왔습니다 전시관을 둘러보고 직접 엣 방식대로 길삼하고 물레돌리는 과정을 시범으로 보여주며 순 우리 벤데기를 시식 할수 있는 코너를 마련해 전통문화의 체험을 할수 있게 만들어 놓았습니다 우리의 번데기는 정말 오랜만에 시..

육홍회 2020.12.03

골굴사의선무도(경주여행12부)

골굴사(骨窟寺) 2017년 6월18일 골굴사에 왔습니다 깍아지른 바위 절벽에 보이는 부처상을보고 질려버린 두분 숙녀는 오르기를 중단하고 친우 춘성과함께 제일높은 곳에 위치한 보물 591호 마애여래좌상 까지 올랐습니다 본전 앞에서는 우리가락 창과 무술 선무도의 공연이 열리고 있었습니다 이곳은 선무도 수행도량으로 유명하며 관광객들에게 주말 매일 무술시범을 보여준다 합니다 수행자들은 외국인들도 많다고 하는데 과연 단복을 입은 이방인들이 많았습니다 골굴사는 활발한 templestay (템풀스데이)가 운영되고 있습니다 한국의 전통사찰에 머물면서 사찰의 일상 생활을 체험하고 전통문화와 수행정신을 체험해 보는 것을 의미하는데 많은 사람들이 골굴사 석굴사원에서 체험할 수 있는 명상과 선무도를 포함한 전통불교 수행법 으..

육홍회 2020.12.02

경주 주상절리의야생화(경주여행11부)

2017년6월18일 주상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 천연기념물 536호 우리는 경주시 양남면 읍천리 일원의 공유수면 천연기념물 536호 주상절리(柱狀節理 Columnar Joint)에 왔습니다 우선 부채골 모양의 아름다운 주상절리를 설명하려면 주상절리란 무엇인가부터 설명이 팔요 하겠습니다 주상절리는 용암이 식으면서 기둥모양으로 굳은 것인데 기둥의 단면은 4각-6각으로 다양한 모습을 보입니다 유동성이 큰 현무암 용암류가 급격히 냉각되면 큰 부피변화와 함께 수축하게됩니다 이때 용암이 식으면서 식으면서 최소한의 변의 길이와 최대한의 넓이를 가지는 “육각기둥”의 모양으로 굳은 경향을 보입니다 4인의 로멘티스트들은 출렁다리를 지나 반환점에서는 해변가를 걸었습니다 돌밭 해변가는 걷기에는 조금 불편했지..

육홍회 2020.12.02

감은사지와 대왕암(경주여행10부)

2017년6월18일 경주 감은사지 (慶州 感恩寺址) 感恩寺지에 왔습니다 (국보112호) 저멀리 문무왕의대왕암이 있는 감포앞바다 가 보이는 절터로 신라때는 이곳까지 배가 들어와 계류하였다 합니다 그 장치를 보며 흥미를 가지고 탑과 절터에 대한 깊은 인상을 우리는 이야기 합니다 일연스님이 三國遺事에서 언급한것처럼 경주에는 기러기처럼 탑들이 줄지어 늘어서 있었고 신라곳곳에 수많은 탑들이 있었다 합니다 그리하여 신라는 석탑의나라라 불리울 정도로 탑과 불상의 전성시대 였습니다 물론 예술적인 다보탑과 석가탑을 견학하였지만 그들과 또다른 차별화가 있는 감은사지 석탑의 고풍스런 매력에 반하고 있었습니다 신라 문무왕(626년-681년)은 태종 무열왕 김춘추와 김유신의 둘째누이 문명왕후 맏아들로 본명은 김법민(金法敏)입니..

육홍회 2020.12.02

석굴암에가다 경주여행9부

2017년6월18일 우리는 석굴암에 왔습니다 주차장에서부터 석굴암 까지 15분 숲길을 걷는데 다람쥐가 사람들을 따르며 먹이를 받아먹고 있어 누가 이르기를 “제는 인간이 다되었다“ 하여 일행들이 웃었습니다 실지 우리나라 삼국시대 기록은 고려때 삼국사기인데 1145년 고려인종의 명으로 김부식이 8명의 인재들과 만들었습니다 중국의 사료들을 참고로 만들어져 있고 대신 일연스님의 삼국유사는 개인적으로 쓴 사서지만 단군신화와 불교에대한 서술이 많이 있습니다 석굴암의 기록은 삼국유사에 김대성이 현생의 부모를 위한 불국사와 함께 전생의 부모를 위한 석불사를 세웠다는 기록이 있어서 불국사와 가까운 위치에 있는 점을 참작하여 석불사가 현재의 석굴암으로 여겨지고 있다.합니다 석불사에는 신림(神琳)·표훈(表訓)의 두 성사(聖..

육홍회 2020.12.02

경주 게스트하우스 고도(경주여행8부)

2017년 6월 17-18일 게스트하우스 고도 - 호스텔 Guest House GODO – Hostel 경주여행을 계획하고 제일 중요한 점 숙박시설을 구하는 것이었습니다. 컴에서 예약이 번거러워 경주 054.114로 문의 합니다 “게스트하우스 고도” 우리는 그렇게 그분들과 하루밤 인연을 맺습니다 지적인 주인 두분들은 경주가 좋아 서울에서 내려와 “고도”를 시작하였다 합니다 우선 정원을 개성이 창조하는 아름다움으로 멋있게 꾸몆습니다. 특히 정원 가운데 있는 자목련은 분재같이 매력적으로 서있었습니다 대문밖엔 텃밭이 있어 각종 채소와 가지 도마도 등이 심어져 아주 건강하게 자라고 있었는데 그 채소들의 진가는 다음날 아침 주인 두 내외분과 웰빙 아침 식사를 같이 하며 수준 높은 대화를 나눌때 알았습니다 가지 볶..

육홍회 2020.12.02

동궁의월지 안압지(경주여행7부)

017년 6월17일 경주 국립박물관에서 나와 경주 동궁과월지(안압지)로 이동합니다 게스트하우스 사장님께서 안압지는 야간매표시 줄을서 30분이상 기달려야 한다는 당부가 있어 미리 매표하고 밤에 다시 올 터지만 미리 입장하여 둘러보겠다 하여 입장하였습니다. 안압지는 신라가 삼국통일을 이룬직후인 문무왕(文武王) 14년(674년)에 황룡사 서남쪽 372m 지점에 신라왕궁의 별궁터라 합니다 큰 연못 가운데 3개의 섬을 배치하고 북쪽과 동쪽으로는 무산(巫山)을 나타내는 12개의 봉우리로 구성된 산을 만들었는데 이것은 신선사상을 상징하는 것이라고 전해진다 합니다 섬과 봉우리에는 아름다운 꽃과 나무를 심고 진귀한 동물을 길렀다는 가장 대표적인 신라의 원지(苑池)이라 합니다 왕궁에 딸린 연못으로 서쪽에 별궁인 임해전이 ..

육홍회 2020.12.02

경주박물관 신라미술관(경주여행6부)

불교 역사관에서는 너무많은 것으로 시각적인 감동이 덜했던 탓일까 불교 미술관에 들어서면서 불교미술의 진면목을 볼수 있었습니다 부처상은 각나라마다 특징있는 재료로 만들었는데 우리나라는 화강암이 많아 석불을 일본은 나무로 만든 목불 중국은 벽돌로 부처상을 많이 만들었다 합니다 자료를 찾아보면 불상의 재질 1.석조(石造) : 돌(石)로 만듬(造) 2.목조(木造) : 나무(木)로 만듬(造) 3.소조(塑造) : 진흙(塑)으로 만듬(造) 4.철조(鐵造) : 철(鐵)로 만듬(造) 5.청동(靑銅) : 청동(靑銅)으로 만듬 6. 금동(金銅) : 구리(銅)로 만들고, 금(金)으로 도금 7.마애(磨崖) : '벼랑(崖)을 갈다, 마찰(磨擦)하다'라는 뜻으로, 자연 암벽에 조각을 함 불상의 인물 1.여래(如來), 석가여래(釋迦..

육홍회 2020.12.02